-
Linux에서 Spring Boot War파일 Tomcat에 올리기IT/Web 2019. 7. 17. 07:36
<17.06.15>
뉴비때 연습삼아 Tomcat 배포과정을 다른 블로그에 기록해놨던 배포를 기록해뒀던 글
사실 아래 글처럼 그렇게 간단하게 올릴게 아니라, 여러가지 설정을 참고해서 많은 환경을 설정해주어야 하지만,
Default 설정이라면 여차저차 아래방법순으로 배포하게 되니 참고
https://suzxc2468.tistory.com/175 에 포스팅했던 Windows 톰캣에 War파일을 배포하는 과정과 완전일치한다.
다만 webapps 폴더 안에 War파일 넣으려면 윈도우 -> 리눅스로 파일을 전송해야 한다.
1. WinSCP 라는 프로그램을 다운받는다. 한글판이 있으니 누구나 쉽게 알수있다
- 파일전송유틸(?)이다. Putty 접속하는 방식과 똑같이 리눅스의 IP주소를 통해 윈도우에서 원격으로 리눅스에 접근하여
파일을 전송하고 내려받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가 잘되있어서 누가봐도 한눈에 사용법을 알 수 있다.
- 파일 프로토콜은 SFTP
- 호스트 이름에 들어갈 아이피는, 리눅스에서 ifconfig를 날리면 나온다.
- 포트번호 22 ( 리눅스에서 netstat -napt 를 날려서 22번포트가 열려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아니면 접속안됨)
- 사용자는 root로 접속. 일반사용자는 파일 옮기는데 권한이 없어서 거부되는 경우가 생기는데,
본인 계정이 권한관련 셋팅이 되어있으면 상관없는데, 나는 그냥 암것도 설정안되있어서 ROOT로 접속
2. 리눅스의 톰캣/webapps 폴더안 파일과 폴더를 싹다 지운다.
3. 윈도우에서 만들었던 ROOT.war파일을 리눅스의 webapps 폴더안에 넣는다.
4. 톰캣/bin 폴더로 접근해 startup.sh를 날린다.
5. 서버가 구동되면서 webapps 안에 ROOT.war 파일의 압축이 풀리고, ROOT라는 폴더가 생긴다.
'IT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input 태그에서 엔터(enter) 입력해도 submit 되지 않도록 하기 (0) 2019.08.04 localhost 또는 127.0.0.1 이란? (0) 2019.08.04 자바스크립트) 함수를 호출한 버튼(객체)의 id및 속성 알아내기 (0) 2019.07.17 Windows에서 Spring Boot War파일 Tomcat에 올리기 (1) 2019.07.17 URL, URN, URI 차이 // URL의 구조 (0) 2019.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