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파일뷰어(파일읽기,파일보기) 명령어 cat & tail
# 개요
일일이 검색하는거보다 그냥 내블로그에 있는걸 찾아쓰려고 적어놓는다.
저장해놓고 나중에 내가 필요할때 Ctrl + F로 찾아쓸거다.
1. cat
1. 용도 : 파일의 내용을 그냥 화면에 바로 쏴준다. 몇줄 안되는거 볼때 쓰자.
2. 생김새 : $ cat [option] [file_name]
3. 옵션 및 테스트 :
설명을 위해 new_file이라는 이름으로 아래와 같은 내용을 담은 파일을 하나 만들었다.
this is testpage
just now i make this page for posting on DK's blog
이것은 테스트 페이지 입니다.
리눅스는 정말 꾸준히 손대봐야 까먹지 않나봐요.
3-1. 그냥 cat : 내용출력
[root@localhost dongkyung]# cat new_file
this is testpage
just now i make this page for posting on DK's blog
이것은 테스트 페이지 입니다.
리눅스는 정말 꾸준히 손대봐야 까먹지 않나봐요.
3-2. -n 옵션 : 공백도 싸그리 다 라인 번호를 붙여서 파일을 출력
[root@localhost dongkyung]# cat -n new_file
1 this is testpage
2 just now i make this page for posting on DK's blog
3
4 이것은 테스트 페이지 입니다.
5 리눅스는 정말 꾸준히 손대봐야 까먹지 않나봐요.
3-3 . -b 옵션 : 공백은 라인번호 제외하고 파일을 출력
[root@localhost dongkyung]# cat -b new_file
1 this is testpage
2 just now i make this page for posting on DK's blog
3 이것은 테스트 페이지 입니다.
4 리눅스는 정말 꾸준히 손대봐야 까먹지 않나봐요.
테스트 결과가 모든 설명을 대신한다.
2. tail
1. 용도 : 파일의 끝에서 x번째줄까지 보여준다. 로그 등 100줄 500줄 1000줄이 넘어가는걸 볼때 쓰자.
2. 생김새 : $ tail [option] [fine_name]
3. 옵션 및 테스트 :
설명을 위해 new_file2 이라는 이름으로 아래와 같이 50줄짜리 파일을 하나 만들었다.
1
2
3
.
.
.
.
48
49
50
3-1. 그냥 tail : 파일의 끝에서 10번째 줄까지 보여준다.
[root@localhost dongkyung]# tail new_file2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3-2. -n-number : 파일의 끝에서 number번째 라인까지 보여준다.
[root@localhost dongkyung]# tail -n-20 new_file2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3-3. -n+number : 파일의 number번째 라인부터 끝까지 보여준다.
[root@localhost dongkyung]# tail -n+47 new_file2
47
48
49
50
3-4. -f : 파일을 열어놓은 상태임에도 실시간으로 내용이 업데이트 된다. [로그확인할때 상당히 유용]
- 테스트결과 보여주기위한 과정이 넘번거로워서 패스
이또한 마찬가지 테스트결과가 모든 설명을 대신한다.